IT(12)
-
[Network] 랜케이블을 랜툴을 활용하여 UTP, CAT5/5E 타입 케이블 제작 방법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서는 장비와 장비 간 통신 선로가 연결이 되어있어야 한다. 이것이 무선이 되었든 유선이 되었든 반드시 데이터를 전송할 매개체가 필요한 법이다. 무선은 편리하고 구성이 깔끔하지만 신뢰도가 하락하며 간섭이나 보안의 위협이 있으며, 유선은 구간에 물리적 구성이 필요하여 물리적 작업의 비중이 많지만 신뢰도가 높고 성능이 좋다. 어쨌든 오래 사용 되었고 신뢰도가 높은 UTP 케이블을 제작하는 과정을 소개할까 한다. 공구 매니아인 필자는 이번에 어렵게 구한 미군 Gerber Dawg Tool을 통해 LAN 케이블을 집어 보았다. 이 툴은 미군 통신병에게 지급 되며 야전에 긴급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만들어진 멀티 툴로 리뷰는 곧 별도로 진행할 예정이다. 필자는 10년도 더 된 제품을 우연히 좋은..
2021.05.12 -
[네트워크] 네트워크 포트 종류, 리스트
우리가 너와 나 상호 간 통신하고 무언가를 주고받으려면 이름, 주소 등이 필요하다. 컴퓨터 장비에서는 이런 부분을 IP라는 것으로 각자 고유의 주소를 할당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게 출발지와 목적지를 지정할 수 있게 하였다. 네트워크의 기본을 알고 있는 분이라면 TCP/IP, OSI7계층에 대해 알고 있을 것이고 그렇지 않다고 하면 추후 작성할 글을 참고하면 될 것이다. 각자의 출발지와 도착지인 IP 주소가 있다고 하여 모든 데이터가 넘어가는 것이 아니다. 집 안에 화장실도 있고 안방, 부엌이 있듯이 IP를 논리적인 세부 주소를 통해 들어온 데이터 유형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넘겨주는 과정이 필요하고 그때 "Port"를 통해 쉽게 구분이 된다. 포트는 항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배가 ..
2021.04.24 -
[Linux] 리눅스 NTP 세팅으로 시간 동기화 설정, 타임 존 설정 (Timedatectl, Chronyd)
모든 생명과 우주는 정교하게 짜여 있다. 그것을 시간 단위로 수치화하여 사람이 운용할 수 있게 하였는데 서로 시간을 동기화하여 맞추지 않으면 약속, 일, 건강 등 모든 것이 틀어지게 된다. 이것은 컴퓨터 장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장비의 시간이 제멋대로라면 단독장비만 사용할 때는 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겠지만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순간 서로 간 다른 시간으로 명령어를 주고받고 로그를 생성하기 때문에 제대로 웹페이지에 접속이 안된다던가 프로그램 작동이 오류가 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렸을 때 시간을 맞추지 않고 대충 사용하는 친구 녀석의 컴퓨터가 이것저것 버그가 발생해서 확인해 보니 시간만 맞춰서 해결되었던 적이 기억이 난다. 리눅스에서 시간을 세팅하는 방법은 그리 어렵지 않다. 일단 OS를 설치 후 프로그..
2021.04.23 -
[Storage] 스토리지의 연결 방식의 종류 DAS/SAN/NAS의 이해
IT 업계에서 일하다 보면 저장장치는 필수이자 시스템에서 뗄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인 것을 알 수 있다. 필자의 어린 시절도 그렇고 "샌 나스 다스가 뭐지?" 하면서 인터넷에서 찾아본 게 엊그제 같다. 사실 해당 부문의 차이점은 체험하지 않으면 정확히 알기 힘들다. 때문에 이 글에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아키텍처 위주의 설명으로 지식의 공유를 하고자 글을 작성한다. 저장장치를 영어로 하면 Storage. 즉 스토리지라고 부른다. 개인용 하드디스크, 외장하드, USB에서 기업에서 사용하는 대용량 저장장치까지 데이터를 저장하여 읽고(Read) 쓸(Write) 수 있는 있는 모든 장치가 스토리지이다. 그 저장장치를 CPU가 인식할 수 있도록 우린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저장장치와 CPU 사이의 연결을 해 줘야 ..
2021.04.07 -
[Linux] RSA 키 값을 통한 SSH 원격 제어 방법
리눅스 서버를 여러 대 혹은 원격으로 관리하다 보면 매번 IP나 패스워드를 잊어버려 접속에 애 먹을 때가 많다. 또한 작업 대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작업 효율이 나지 않는다. 이 페이지에서는 리눅스 서버를 쉽게 접속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기록하려고 한다. *RSA KeyRon Rivest, Adi Shamir, Leonard Adleman 세 사람이 개발한 인증 방식으로 보통 "공개키"라고 부르기도 한다. 소인수분해를 통해 값을 암호화하는데 해독하기 어렵다. 물론 양자 컴퓨터처럼 처리 성능이 뛰어난 장비가 있다면 또 이야기가 다르지 않을까. 어쨌든 구조는 암호화된 키와 이를 해독하는 키가 생성되고 해독 키만 가지고 있다면 언제든지 보안이 열린다. 마치 지옥의 공인인증서 느낌? 다행히 리눅스 서버에서 구성은..
2021.04.03 -
[Storage] RAID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보조 기억장치는 HDD, Flash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일 장비의 용량, 성능, 장애의 한계를 극복할 필요성이 생겨 엔지니어들에 의해 RAID 기술이 탄생하였다.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처럼 사용하는 기술로 RAID 타입 0부터 6까지 개발되었으며 혼합형인 1+0, 0+1도 개발되었고 요즘은 Flash 형태로 저장장치 구조가 바뀌어 과거 원판 자기 디스크 형태의 HDD RAID 기술보다는 스토리지 제작사가 별도의 반도체용 RAID 방식을 신규로 만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RAID 기술은 하기와 같은 개발순서로 넘버링이 되어있으며 환경 구성이 가능하다. RAID 0 : Stripe - 데이터 블록이 분산되어 가장 성능이 좋음, 디스크 손상시 데이터 손상. RAID 1 : Mirror - RAID 0..
2021.04.01